보길도의 세연정 고산 윤선도는 해남의 다도해 가운데 있는 섬 보길도 전체를 정원으로 설계하고 자연을 그대로 쓴 조선식 정원인 부용동 원림을 만들었습니다. 세연정은 그 가운데 정자입니다. 중국인(唐) 한유는 바다같은 동정호에 배를 띄워 낚시질 하며 시절을 낚으려 했지만 조선인 윤선도는 남해바다 다도해를 .. 유적사진-선비정신해설 2005.07.30
소쇄원의 광풍각 소쇄원은 전라남도 담양에 있는 대표적인 조선시대 정원입니다. 보통 우리는 일본식 정원만 봐왔기 때문에 조선 정원의 아름다움을 잘 모릅니다. 광풍각은 소쇄원의 가운데를 차지하고 있는 시원한 정자입니다. 유적사진-조선이후해설 2005.07.28
진달래꽃길과 벚꽃길 1. 봄은, 많은 선남선녀들이 정든 님 가시는 길에 '영변 약산의 진달래꽃을 아름 따다 뿌리겠다'는 김소월의 시를 애송하는 계절입니다. 이 시는 1922년 발표되었고, 일제의 식민통치 아래에서 망국의 한(恨)을 달래던 그 시절 이래 널리 기억되어 왔죠. 18세기 실학자 이중환이 쓴 <<택리지>>를 .. 발표-문학과 역사 2005.07.19
창덕궁 주합루(규장각) 세계문화유산 창덕궁의 아름다운 정원에 있는 주합루입니다. 1층이 바로 국왕의 서재 규장각이죠. 국왕 전용의 가운데 문이, 왕과 신하들이 물과 고기가 만난 것 같다 하여 붙인 어수문(漁水門). 규장각은 이미 다 아시다시피 정조 임금의 개혁정치인 탕평정치의 산실이자, 그래서, 정약용, 박제가, 서.. 유적사진-조선이후해설 2005.07.19
금산사 꽃창살 금산사 미륵전의 꽃창살입니다. 우리나라에서 가장 아름다운 창살의 하나... 석가모니불-대웅전, 비로자나불-대광명전, 아미타불-극락전, (미륵불-미륵전) 같이 부처님 모신 전각의 문과 창에 만드는데 꽃과 같이 화려하여 아무 데도 거칠 것 없는 부처님의 마음을 매일 매일 받들어 공양한다는 뜻을 .. 유적사진-고려까지해설 2005.07.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