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견붙임-교육현실

교원평가제는 교육선진국들이 제대로 시행하죠

써니2022 2005. 11. 11. 01:31

 

수업능력, 교사자질에 대한 교원평가는 민주주의 국가, 사회주의 국가 모두 대부분 실시하고 있답니다.

또한 평가결과를 승진ㆍ임금 등에 적극 반영한다고 합니다. 특히 사회주의 국가는...

반면에 현재 우리나라 교원평가 시범실시안은 평가 결과를, 전교조 의견을 대폭적으로 수용한 결과,

인사 승진제도에 활용하지 않고 실력향상을 위한 자료로만 활용한다고 합니다.

 

도대체 수업의 질은 기본적으로 무엇이 결정하나요?

권위주의적 사회분위기 타파 운동이라든지,

아니면 근무평정제 폐지-교장선출보직제 쟁취를 통한 학교자치라는 민주적 교육제도에서 나오나요?

 

(기본적으로) 결코 아니죠...

  -공부하는 학생들과, 자식들 학교 보내는 학부모들에게 물어보셔요.

바로 교사님들의 수준이죠.

  -사람됨이라는 수준, 그리고 교사가 가진 전공 교과실력이라는 수준이죠-

 

일제시대 같은 군국주의적 전체주의 통치시대, 유신시절 같은 폭압적 개발독재 시절도

-박봉에(특히 사립학교 경우), 평균 수업시간 20시간 이상에, 한 반에 60-70명 되는 학생과 수업해도- 

지금과 비교해서도, 훌륭하신 선생님들, 실력있는 선생님들... 참 기적 같이 많았습니다.

이게 무얼 말해주는 거죠?

<사람이 교육을 담당하는 거죠. 교육제도란 어떤 경우도 -교육을 돕거나 방해하는- 사람들이 쓰죠.>

 

***학교자치제 강화라든지, 교육은 인간을 중심에 두어야 한다는 2대 원칙을 부정하는게 아닙니다.

(참교육 내세운 전교조 이전과 이후 교육의 역사를, 칼로 자르듯 정치적 논리로 재단말라는 겁니다.)

 

***교육민주화나 교육 자치를 핑계로 교원평가제를 부정하는건 국민들 요구를 부정하는 겁니다.

(교육주체는 교사-학생만이 아니죠. 국가-지자체-학교법인, 그리고 학부모로 대표되는 국민들도 교사들 자리만들고 세금과 수업료내고 고용하는 교육주체죠. *'교육'자 붙은 NGO단체들도 주체는 아니죠.)

 

***전교조 투쟁방식 보면, 국민들은 안중에도 없고, 대통령 위시한 현 정부만 잡으면 된다는 계산이 국민들 눈에는 보이죠. 한쪽은 정치전략적으로 대응하기로 작심했는데, 다른쪽은 순진하게 대응할까요?

(그 결과는 국민들의 정권교체를 통한 발본색원의 의지를 더욱 부채질하는 걸로 귀결될 겁니다.)

 

 

***대학교 수업평가 결과에 대해서, 이제까지 나온 분석들을 살펴 보면

수업평가 신뢰도는, 1개 학기에 20명 미만에 특정 학급 단위 평가 자체로는 신뢰도가 무척 낮지만,

 -3년에 별도의 15개 (30명 넘는)수업단위 이상의 평가주체들 자료를 종합하면, 신뢰도 90%이상이죠.

 -수업평가결과 추세는, 대다수 교수는 과목-평가주체 변화에 관계없이 몇년간 놀랍도록 유사합니다.

 

 

 

<<이하 신문들에 나온 자료를 발췌한 것입니다.>>

 

일본

 -교사의 학습지도, 생활 진로지도, 특별활동, 연구연수, 학교운영 등 년1회 상대평가 및 절대평가

 -평가는 5단계로, 평가결과는 승급, 승진, 보수, 인사이동, 지도력 부족교원 판단 등의 자료로 활용

 

미국

 -주(州)별로 다름.워싱턴주 경우 수업, 학습환경, 대인관계, 의사소통 기술, 전문성 등을 평가.

 -그 결과를 재임용 추천 및 취소, 계약기간 연장이나 격려금 지급, 승진 촉진 요소로 활용.

 

독일

 -평가는 4~5년 주기로. 바이에른주는 사전 통보 없이 여러 번의 수업참관을 통해 평가 등급조정

 -공무원 급수별 급여규정에 따라 보수 지급.

 

호주

 -매년 실시, 발전보인 교사 승급, 결과 좋지 않은 교사는 개선 프로그램 참가,

 -징계위원회 결정에 의해 학교에 복귀 또는 전근 조치.

 -심할 경우 퇴직할 때까지 교육구청에서 업무보조로 근무.


캐나다

 -1년 2회 평가. 결과는 승진, 보수, 상여금 등에 적용. 불합격 교원들은 재평가 계획, 사례 적음.

 

중국

 -기본소양, 수업평가, 수업안 작성, 강의효과, 강의성적, 연구성과물 등 평가 인사관리 기준으로

 -학생들이 학급담임 교사에 대해 설문조사를 통해 학급 및 학생에 대한 열정, 담임 역할, 학급회의와 집단활동 등 10개 지표로 4개 등급으로 평가


영국

 -평가위원이 교사 수업을 1회 이상 참관, 면담 실시, 보고서 작성, 교사에 제공, 교사 이의 제기권

 -평가 결과는 능력개발, 승진, 보수와 연계하는 근거로 사용

 

평가에 수업참관을 쓰는 곳은 영국, 미국, 독일, 프랑스..,

동료교사 참여하는 곳은 영국, 미국, 독일...
평가 지표에 교사 기본 소양(인품 포함된 듯)까지 평가하는 곳은 바로 우리의 강력한 경쟁국 중국...

 

 

***언론사들의 사설 내용입니다.

  -하늘 높은줄 모르고 치솟는 사교육비 부담에 학부모들 허리가 휘는데, 공교육 담당 선생님들이 수업의 질을 높이자는 걸 반대할 수는 없는 일이다.

  -능력이나 자질과 무관하게 연공만으로 평가를 받는 시대는 이미 끝났다... 교원평가제도...교육수요자인 학생이나 학부모의 교사에 대한 평가를 전체 고과에 부분적으로 반영하자는 것이다.

  -학부모가 원하는 것은 학습 지도 능력이 떨어지거나 교육자로서 부적격한 교사를 가리는 교원평가제다. 폭력이나 인격모독 행위를 일삼거나 촌지를 탐내는 일부 교사를 염두에 둔 것이지 성실한 교사를 제재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교원단체들은 교원평가제를 거부만 할 것이 아니라 오히려 교원의 자질을 높이고 교사에 대한 신뢰를 회복하는 전기로 삼아야 한다는 생각이다. 

 

 

***교원평가제 시범 실시 학교 결정 후, 일어난 상황입니다.(조선일보 보도)

 

 

  “교원평가제를 신청한 날부터 전교조의 협박에 시달리고 있다”고 털어놨다. 이 학교 교장은 ‘제 명(命)대로 살고 싶지 않냐’ ‘위대한 결단을 내렸으니 기자회견을 하라’ ‘퇴출하라’ 등의 협박전화에 시달리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사건을 수사 중인 대구경찰청 관계자는 “전교조 대구지부에서는 자신들이 조직적으로 한 일이 아니라고 말한다”며 “비슷한 내용의 문구가 같은 날 발견된 것으로 보아 동일집단의 소행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충청남도에도 지난 18일 전교조 교사들이 찾아와 “왜 교원평가제 시범학교를 신청했냐”며 강하게 따졌다. 학교측은 “전교조 교사들이 ‘(학교가) 전교조를 이길 수 있다고 생각하냐’는 협박 조의 말까지 했다”고 전했다. 

 

**학생들이 학교에서 느끼고 체험한 비리=부정한 행위 중 가장 심각했던 것은? 직접 접촉하시는 선생들의 비리=부정한 행위죠. 전교조는 이를 노조라는 조직으로 합리화해 가리고 있죠. 비리를 자정한다고요? 아니죠. 그래서 개정사학법은 더많은 학생들에게는 하소연도 못하는 더 큰 비리체험을 겪게하겠죠. 우리 국민들... 잘들 아실텐데요...

 

**전교조 소속 교사님 한분의 실습교사 성폭행 기사가 포털사이트에 늦게야 올라오는걸 보고**
 기득권자란... 자신과 자기 편 보호하는데, 진보든 보수든, 권력을 사용하는 자들이죠. 이 사건이 포털 언론의 뉴스사이트에 올라오는데 도대체 왜 이리 오래 걸렸죠??? 전교조가 교육현장의 기득권자이기 때문이라는게 제 생각 만일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