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두 인정하는 국민성이 있어야 합니다. 요즈음 이른바 '진보'를 표방하는 정치인, 지식인들은 왜 세계인이 인정하는 대한민국의 1위 브랜드인 기업으로는 '삼성', 대학으로는 '서울대' 등등을 (둘 다 세계 순위로 쳐 보면 여러가지 문제들이 보이겠지만) 우리나라 사람들끼리 흔들거나 잡아 없애지 못해서 야단인지 정말 모르겠네요. 흔들어 .. 의견붙임-시사문제 2006.11.17
번암 채제공의 생애와 사상 채제공(蔡濟恭)은 1720년(숙종 46)에 태어나, 1799년(정조 19)에 사망하였다. 조선후기 영조, 정조 연간 탕평책의 한 축을 받친 남인 계열 대정치가이자 개혁적 관료이다. 시인이기도 해서, 서민 생활에 주목하는 풍속시풍(詩風)이 이가환, 정약용에게 이어졌다. 본관은 평강(平康), 자는 백규(伯規), 호는 번.. 발표-인물과 역사 2006.08.17
연구정직성 여부는 교수단체가 잘 알죠 ㆍ뉴스제목: '당당'한 김 부총리, 또 '무기력'한 의원들 김병준 님의 모든 변명은, 다 형식 논리에 입각한 것들 뿐입니다. 그러나 정작 논쟁의 핵심인 '연구정직성' 문제는 교수단체들이 가장 잘 알죠... 그런데 민주화를 위한 전국교수협의회(민교협)와 전국교수노동조합, 전국국공립대 교수회, 그리고 .. 의견붙임-교육현실 2006.08.01
겸재 정선의 인왕제색도 겸재 정선의 ''인왕제색도''입니다 비 갠 직후 인왕산의 맑고 청량한 모습을 그렸습니다. ''맑고 청량한 흐름 속에서 산다'' 조선시대 내내 선비 중에서 우리나라식 성인과 군자를 지향하던 분들의 모토입니다 그런데... 오늘날 우리들의 모토는? (76세 때 작품이고, 오주석님 해석에 의하면, 아래 있는 .. 유적사진-선비정신해설 2006.07.12
순암 안정복의 생애와 사상 '순암 안정복 친필' 1. 순암 안정복은 우리나라 최초의 근대적 민족주의 역사학자 신채호가 ‘몇 백년래 유일한 사학전문가’라고 평가한 인물로 더 알려져 있습니다. 그는 25세 때 광주군 경안면 덕곡(廣州 慶安面 德谷)으로 이주하여, 이후 이곳에서 일생을 공부하는데 바쳤습니다. 그는 집안이 가난.. 발표-인물과 역사 2006.07.02
녹암 권철신의 생애와 사상 '권철신의 편지' 1. 권철신은 1736년(영조12) 경기도 여주 감호(鑒湖)에서 출생하였습니다. 동생 권일신은 조선천주교회 창립을 주도한 핵심지도자 중의 한사람이었고, 권일신의 제자인 윤유일, 정광수 역시 진산사건 이후 계속하여 조선천주교회를 이끌어 간 핵심 지도자들이었습니다. 또한 사위인 이.. 발표-인물과 역사 2006.07.02
금대 이가환의 조선사회 개혁론 '이가환 친필' 1. 이가환(李家煥)은 1801년 천주학에 물들었다 하여 역적으로 단죄되어 죽음을 당하였습니다. 이 때문에 결국 그의 진면목을 파악할 만한 자료도 거의 없어져 버린 비극적인 인물이죠. '황사영백서'로 판단하면 그는 천주교 신자로서 죽었지만, 추안을 위시한 사료를 전반적으로 검토해 .. 발표-인물과 역사 2006.07.02
성호 이익의 조선사회 개혁론 '성호 이익 친필' 1. 성호 이익(星湖 李瀷)은 반계 유형원의 사회개혁 방안을 이어받아 대성한 남인 계열 실학자이다. 그는 유형원을 “몸은 일개 필부였으나, 뜻은 만물을 구원하는데 두었다”고 높게 평가하였다. 이익의 당숙부 이원진(李元鎭)은 유형원의 외숙부로서, 유형원을 가르치기도 한 스승.. 발표-인물과 역사 2006.07.02
손암 정약전의 조선사회 개혁론 1. 정약전(丁若銓)은 정약용의 둘째 형입니다. 1758년 경기도 광주 마재에서 출생하여, 1816년 유배지인 전남 흑산도에서 사망하였습니다. 그는 유배 중임에도 불구하고 흑산도 바다에 사는 어류를 위사한 여러 생물들을 조사하여 분류한 '자산어보(玆山魚譜)'를 저술한 실학자로 특히 유명하지요. 호가 .. 발표-인물과 역사 2006.07.02
하곡 정제두의 조선사회 개혁론 <강화도 양도면 하일리에 있는 정제두 묘소의 문인석상> 간략한 전기 하곡 정제두(霞谷 鄭齊斗)는 인조 27년(1649)에 태어나 영조 12년(1736)에 돌아가신 양명학자(陽明學者)이다. 서울 출신으로, 본관은 영일(迎日)이다. 할아버지는 우의정 정유성(鄭維成), 아버지는 진사 정상징(鄭尙徵)이다. 어머니.. 발표-인물과 역사 2006.05.29